반응형

기후동행카드 홈페이지 바로가기
기후동행카드 홈페이지 바로가기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는 5개월간의 시범사업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고, 이로 인해 7월 1일부터 본 사업을 실시합니다. 

 

1회 요금 충전을 하여 선택한 사용기간 동안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과 함께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출시, 청년 할인, 문화시설 할인 등의 혜택이 확대됩니다. 

 

2024년 상반기에 진행된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기간 보다 혜택 비용과 범위가 대폭으로 확대되었으니 확인 후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주요내용
기후동행카드 주요내용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발급 방법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발급 전, 확인사항

기후동행카드 발급 신청 전에 휴대폰 기종을 확인해야 합니다. 

휴대폰 기종에 따른 단기권 발급 방법
휴대폰 기종에 따른 단기권 발급 방법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모바일 카드 개설의 경우

- 안드로이드폰 기종 이용자오프라인이나 온라인 카드 개설 모두 가능합니다. 

- 아이폰 기종 이용자실물로만 카드 개설이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은 서울시 방문객이나 외국인 관광객에게 도움이 될만한 카드로서, 1일권, 2일권, 3일권, 5일권, 7일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판매처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의 카드 사용을 위해서는 실물카드 판매처와 발급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온라인 발급

기후동행카드 온라인 발급 절차
기후동행카드 온라인 발급 절차

  • 기후동행카드 온라인 발급은 '모바일 티머니-기후동행카드를 모바일로 간편하게' 앱에 접속하여 모바일 티머니 카드 단기권 신청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오프라인 발급

기후동행카드 오프라인 발급 절차
기후동행카드 오프라인 발급 절차

기후동행카드 오프라인 발급 방법은 편의점과 지하철 역의 고객안전실에서 가능합니다.

  • 편의점 :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 24 
  • 지하철 역 고객안전실 :  1~9호선 역 내에 위치한 고객안전실(1호선은 청량리역, 9호선은 역 내에 있는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하지만 신림선과 우이신설선은 주변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
  • 외국인은 서울관광플라자 관광정보센터, 명동 관광정보센터에서 카드 구매 가능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종류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종류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종류

- 1일권 : 5,000원

- 2일권 : 8,000원

- 3일권 : 10,000원

- 5일권 : 15,000원

- 7일권 : 20,000원

 

단, 기후동행카드 정기권과는 달리 단기권은 카드 사용 시작일을 지정할 수 없고, 충전한 당일부터 카드 사용 시작일이 지정됩니다.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요금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방법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방법

 

2024년 7월부터 청년(만 19~39세)의 경우, 기후동행카드 30일권(정기권)을 62,000원보다 7,000원 할인된 55,000원(따릉이 포함 시 58,000원)에 충전하여 무제한으로 카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6개월마다 본인인증을 해야 하며, 실물카드 이용자는 '티머니 카드&페이 누리집'에 등록된 카드의 경우만 할인을 적용받아 카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문화시설 할인

 

 

 

- 기후동행카드는 문화 혜택 카드로서, 서울식물원, 서울대공원, 서울시립과학관(이하 50%),  빛의 시어터(30%), 뮤지컬 '페인터즈'(20%), 국립발레단 공연(10%),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서울스카이 등 문화시설 이용 시, 최대 50%까지 할인받아 카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 청와대 자율운행 버스 이용도 가능합니다. 

 

- 2024년 10월부터는 매월 3,000원만 추가하면, 한강 최초 수상교통수단인 '한강리버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